세상이야기
나토 對리비아 군사작전 종료 임박
정이있는마루
2011. 10. 21. 07:46
나토 對리비아 군사작전 종료 임박
나토 회원국 21일 회동, 작전 종료 시기·방법 논의
(브뤼셀 AP·AFP·dpa=연합뉴스) 리비아의 독재자인 무아마르 카다피가 사망함에 따라 지난 3월부터 이어진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의 대(對) 리비아 군사작전도 곧 종료될 전망이다.
익명을 요구한 복수의 나토 관계자들은 나토 회원국이 21일 회동, 리비아 군사작전의 종료 시기와 방법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나토 사무총장은 카다피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직후 성명을 발표하고 나토가 "유엔 및 리비아 국가 과도위원회(NTC)와의 협조하에 작전을 종료할 것"이라며 카다피의 최후 거점인 시르테와 바니 왈리드가 함락된 만큼 작전 종료 시점도 훨씬 가까워졌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 외교소식통은 제임스 스타브리디스 나토군 최고 사령관이 이르면 21일 군사작전 종료 권고를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고위 외교소식통도 군사작전 입안자들이 빠르면 하루 안에 작전 종료 또는 공습 중단 및 모니터링 실시 등의 방안을 권고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제이 카니 미 백악관 대변인은 나토의 군사작전 종료가 임박했다는 사실이 자명하며, 종료 선언 시점은 나토의 결정에 달렸다고 밝혔다.
그런가 하면 윌리엄 헤이그 영국 외무장관은 "친(親)카다피 세력이 장악한 지역이 더 없는지 확실히 해두길 원한다. 리비아 민간인에게 더 이상의 위협이 없다고 판단될 때, 혹은 NTC가 요청할 때 물러날 것"이라고 밝혀 군사작전 종료 시기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나토는 유엔의 리비아 비행금지구역 설정 이후 3월부터 7개월간 카다피 친위군을 대상으로 약 9천600차례에 걸쳐 공습을 단행했다.
cindy@yna.co.kr
(끝)
出處: http://news.nate.com/view/20111021n03456
나토 회원국 21일 회동, 작전 종료 시기·방법 논의
(브뤼셀 AP·AFP·dpa=연합뉴스) 리비아의 독재자인 무아마르 카다피가 사망함에 따라 지난 3월부터 이어진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의 대(對) 리비아 군사작전도 곧 종료될 전망이다.
익명을 요구한 복수의 나토 관계자들은 나토 회원국이 21일 회동, 리비아 군사작전의 종료 시기와 방법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나토 사무총장은 카다피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직후 성명을 발표하고 나토가 "유엔 및 리비아 국가 과도위원회(NTC)와의 협조하에 작전을 종료할 것"이라며 카다피의 최후 거점인 시르테와 바니 왈리드가 함락된 만큼 작전 종료 시점도 훨씬 가까워졌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 외교소식통은 제임스 스타브리디스 나토군 최고 사령관이 이르면 21일 군사작전 종료 권고를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고위 외교소식통도 군사작전 입안자들이 빠르면 하루 안에 작전 종료 또는 공습 중단 및 모니터링 실시 등의 방안을 권고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제이 카니 미 백악관 대변인은 나토의 군사작전 종료가 임박했다는 사실이 자명하며, 종료 선언 시점은 나토의 결정에 달렸다고 밝혔다.
그런가 하면 윌리엄 헤이그 영국 외무장관은 "친(親)카다피 세력이 장악한 지역이 더 없는지 확실히 해두길 원한다. 리비아 민간인에게 더 이상의 위협이 없다고 판단될 때, 혹은 NTC가 요청할 때 물러날 것"이라고 밝혀 군사작전 종료 시기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나토는 유엔의 리비아 비행금지구역 설정 이후 3월부터 7개월간 카다피 친위군을 대상으로 약 9천600차례에 걸쳐 공습을 단행했다.
cindy@yna.co.kr
(끝)
出處: http://news.nate.com/view/20111021n03456
TG삼보컴퓨터 전문쇼핑몰 http://www.tgmark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