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정이있는마루
TG삼보컴퓨터 입니다. TG 삼보컴퓨터서비스,TG,tg삼보삼보컴퓨터,삼보서비스,TGS,TG삼보컴퓨터,TRIGEM,TRIGEM.CO.KR,에버라텍,리니지2,루온,XP,바이러스,악성코드,고장,비디오,게임,노트북,마우스,키보드,드라이브,자료실,PC,컴퓨터,출장서비스,소모품,판매.최저가,조립컴퓨터,가격비교,안드로이드,아이폰,삼성,캘럭시,S2,애플,어풀,WIFI,3G,4G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Tag

2007. 4. 27. 00:06 전문가리뷰
내부구조편(6)



사진설명 : 액정 상판을 본체에 고정시켜주는 고정 고리의 모습입니다.



사진설명 : 유동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의 비결은 역시 고리 스프링입니다.^^;



리뷰모델에는 듀얼레이어 방식, DVD-RW, DVD+RW 등을 지원하는 멀티 드라이브를 채용하여 멀티미디어 대용량 파일의 취급 용이성을 높였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특징입니다. 에버라텍 6500 시리즈에 기본 탑재되는 듀얼 드라이브는 필립스사의 SDVD8441 모델입니다. 최대 8배속의 DVD-R과 DVD+R을 지원하며 본체 고정 방식입니다.

탈착식 드라이브는 아니지만, 드라이브 고정 볼트 하나만 풀면 본체로부터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본체를 가볍게 휴대하기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드라이브를 분리해 두고 다른 제품에 사용되는 웨이트 세이버 중에서 대충 맞는 것을 사용하면 휴대성을 높일 수도 있겠습니다.



에버라텍 6500(1.73GHz 탑재 모델)에는 소노마 플랫폼부터 새롭게 지원하는 S-ATA 규격의 후지쯔 MHT2060BH 하드디스크를 기본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기존 P-ATA 방식의 하드디스크와 동일한 9.5mm의 두께로 제작되어 있으며 SATA-150 인터페이스 지원을 통해서 Native Command Queuing을 지원합니다. Native SATA 지원을 통해서 Native Command Queuing의 지원이 가능하며 최대 32개까지의 명령어를 저장하여 중요도에 따라 컨트롤러가 선별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습니다. 또 Staggered Spin Up과 핫스왑 기능에도 대응합니다.

MHT2060BH에 내장되는 플래터(디스크)는 69GB/inch2의 밀도를 갖고 있으며, 1장의 플래터당 30GB의 용량으로 2장이 사용되어 있어 총 용량은 60GB입니다. 하드디스크의 속도는 5400RPM이며 트랙간 검색시간은 1.5ms입니다.



S-ATA 하드디스크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을 위해 기존 P-ATA 하드디스크와 간단히 비교를 해보겠습니다.우측의 제품이에버라텍 6500에 탑재된 S-ATA 하드디스크입니다. 인터페이스의 대역폭이 향상된 점 외 업그레이드 편의성도 향상되었습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좌측) 기존의 P-ATA 하드디스크는 노트북에서 제거 혹은 외장 하드디스크에서 제거하기 위해 무리한 힘을 주면 인터페이스 핀이 쉽게 변형될 위험이 있는데요, EIDE 단자에 접속되는 43개의 핀중에서 하나만 휘어지거나 부러져도 낭패를 겪게 됩니다. 핀 삽입 방식에서 단자 접촉 방식으로 변경된 S-ATA 하드디스크는 교체작업시 인터페이스부 파손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소노마 플랫폼으로 변경되면서 추가된 기능 중에서 PCMCIA 규격을 대체하는 Express Card 슬롯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Express Card 규격(최대 312Mbps)은 기존 PCMCIA 규격(최대 132Mbps)에 비해 2배 이상 향상된 전송 속도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에버라텍 6500에는의존도가 많이 떨어진 기존 PCMCIA 슬롯을 과감하게 삭제하고 새로운 규격의 Express Card만을 채용하였습니다.아직까지 주변기기가 활발하게 출시되지 않고 있어 활용도가 높은 편은 아닙니다만, 역시새 부대에는 새 술이 어울리는 법입니다.



지금까지 삼보가 가격 100만원 중반대에서 최상의 성능비를 구현한 15.4 인치 데스크탑 대체 컨셉의 고성능 노트북 PC인 에버라텍 6500 시리즈의 내부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어지는 성능편에서는 에버라텍 6500에 탑재된 15.4인치 액정, 고성능 그래픽 칩셋의 성능을 비롯하여 키보드 성능, 배터리 구동시간, 발열/ 소음 상태, 시스템 성능 등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정이있는마루
2007. 4. 27. 00:03 전문가리뷰
내부구조편(5)



액정의 개폐를 제어하는 힌지부의 모습입니다. 보통 바형태나 ㄱ자 형태의 구조로 설계되는 것과는 달리 ㄷ 자 형태의 독특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덕분에 이전 모델들의 제한적인 개방 각도에서 탈피, 액정 상판이 자유롭게 눕혀지고 동작도 확실해서 좋습니다.



유광의 플라스틱바 안에서 있는 듯 없는 듯 위치해있는 감각적인 인디케이터부의 기판입니다. 에버라텍 6500의 외형을 세련되게 업그레이드 해주는 포인트라 할 수 있겠습니다.



액정 상판 안쪽부분의 모습입니다. 상판은 강화플라스틱이 사용되었지만, 액정을 보호하는데 문제점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적정한 강도를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상판 위 부분으로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액정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넓은 면적의 완충재를 사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사진설명 : 무선랜 수신을 위한 듀얼 안테나 역시 기본 채용되어 있습니다.



사진설명 : 무선랜 AP로부터 전파 수신이 가장 용이한 위치인 상판 전면부 좌우측 부분에 각각 하나씩의 안테나가 삽입되어 있습니다.

posted by 정이있는마루
2007. 4. 27. 00:02 전문가리뷰
내부구조편(4)



키보드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닥에 키보드를 고정하고 있는 하나의 볼트를 풀고 키보드 상단과 측면에서 키보드 판을 잡아주는 탭을 밀어낸 상태에서 제거해야 합니다. 비교적 간단하게 키보드가 제거되는데요, 이유는 키보드 아래에 메모리 슬롯이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키보드를 받치고 있는 안쪽 부분은 금속판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특히 그래픽 칩셋을 비롯한 좌측의 주요 칩셋부에서 키보드 위로 열이 올라오지 않도록 얇은 방열패드를 추가하였음을 볼 수 있습니다. 금속판 부분이 키보드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들썩거림이나 울렁거림과 같은 현상이 발견되지 않아 안정적인 타이핑이 가능하였습니다.



메모리 슬롯을 덮고 있는 금속 커버를 제거하면 대칭구조의 메모리 슬롯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에버라텍 6500에는 DDRII 533 규격의 512MB 모듈 한 개가 기본 탑재됩니다. 동일 규격의 메모리를 추가하여 사용하게 되면 듀얼 채널 시스템에 구성됩니다.



이제 액정 부분으로 시선을 옮겨보겠습니다. Averatec6500은 15.4인치 WXGA(1280x800)급 16:10 와이드형 TFT 액정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흔히 ’멀티미디어형 노트북 PC’로 분류됩니다. 특히 이번 에버라텍 6500 시리즈는 기존 에버라텍 시리즈의 약점으로 지적된바 있는 저휘도 액정 채용에 대한 아쉬움을 상쇄시켜 줄 것으로 예상되는데, 삼보는 에버라텍 6500 시리즈에 AveraBrite 기술이 적용된 하드코팅 방식의 고휘도 액정을 새롭게 채용하였습니다. 저반사 하드코팅 층이 추가된 AveraBrite 액정에는 표면을 덮고 있는 배열층 위에 색의 고대비를 높여주는 하이콘트라스트 필터(Glare 필터) 층과 외부에서 유입되어 액정 표면에서 반사하는 외광이 액정을 투과하는 백라이트 빛과 섞여 간섭효과에 따른 색재현력 저하를 막기 위해 Anti-Reflection 코팅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에버라텍이 고급형 모델보다는 주로 보급형 모델에 치중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하드코팅 액정이 사용되었더라도 저가 브랜드나 이름 없는 회사의 제품이 적용되지나 않았을까 걱정하시는 분들이 계실지 모릅니다만, 에버라텍 6500에 탑재된 AveraBrite 액정은 위의 사진에서 보실 수 있는 것처럼 삼성 패널입니다.



아시다시피 삼성은 LG 필립스와 함께 세계 최대의 LCD 생산 라인을 갖추고 있는 세계적인 제조사입니다. 에버라텍 6500 액정의 출력 상태에 대해서는 성능편에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정이있는마루
2007. 4. 27. 00:01 전문가리뷰
내부구조편(3)



사진설명 : 에버라텍 6500에 탑재된 MXM 규격의 Radeon X700 그래픽 칩셋은 일반 미니 PCI 모듈보다 조금 큰 정도입니다.



사진설명 : 에버라텍 6500에 탑재된 Radeon X700 칩셋의 바닥면 모습입니다.



에버라텍 6500에는 Dothan 코어의 Pentium-M 740(1.74GHz)CPU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제품이기 때문에 그다지 특징적인 사항은 없다 하겠습니다. Dothan 코어의 CPU는 533MHz 시스템 버스 클럭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대역폭은 4.2GB/sec입니다.



CPU는 탈착식이기 때문에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높은 클럭의 동일 CPU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올해 초 까지만 해도 국내에는 모바일 CPU 리테일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일본 또는 미국에서 개인적으로 주문을 하거나 구매 대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수의 사람들만이 노트북 CPU 업그레이드를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올 봄부터 모바일 CPU 리테일 제품이 소량 유통되고 있고 매년 노트북 사용자들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머지않아 일본이나 미국처럼 모바일 CPU 단품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국내에서는 시장 규모가 작아 모바일 CPU 리테일 제품 가격이 매우 비싼 편이기 때문에 아직까지 CPU 업그레이드 효용성은 높다고 볼 수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매번 설명에 포함하는 내용입니다만, CPU를 제거할 때에는 소켓 위의 - 형 볼트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180도 돌려주면 되는 간단한 작업입니다. 반면 CPU를 장착시에는 접속 방향을 잘 맞춰야 합니다. 메인보드 소켓과 CPU 바닥면의 핀을 보면 모서리 한 쪽의 핀 하나가 빠져있는 부분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이 부분을 CPU 모서리에 표시된 삼각형 모양과 맞춘 상태에서 접속하면 됩니다.



에버라텍 6500의 메인보드로는 인텔 915 PM 칩셋이 사용되었습니다. 인텔 915PM 칩셋은 통합형 그래픽 코어인 Intel Graphic Media Accelerator 900 칩셋이 내장된 통합형 칩셋인 915GM와 초저전력 CPU를 위한 915GMS 그리고 독립형 그래픽 칩셋을 사용하는 915PM 칩셋으로 나뉩니다. 인텔 915 칩셋에 탑재되어 있는 사우스브리지인 ICH6-M 칩셋은 최신 하드디스크 기술이자 기존 P-ATA 방식의 하드디스크에 비해 1.5배의 속도를 자랑하는 Serial ATA-150 규격을 지원하며 NEWCARD, Geyserville III보다 더 강력한 전력관리기술인 EBL’04, 보안 기능인 바이오매트릭스 등을 지원합니다. 특히 그동안 노트북에서 중요하지 않은 부분으로 여겨져왔던 사운드 기능도 대폭 향상되었는데, Dolby-Digital 7.1 을 지원하는 신오디오 인터페이스인 ’Azalia’를 기본 탑재하기 때문에 노트북만으로 개인 홈시어터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도 인텔 915 칩셋의 장점입니다. 저렴한 가격대에 판매되는 에버라텍 6500 시리즈에는 인텔 915 칩셋이 지원하는 대부분의 기능들을 모두 갖추고 있어 저렴한 가격대에서 최상급의 성능을 원하는 사용자들의 구미에 잘 맞아떨어진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posted by 정이있는마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