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정이있는마루
TG삼보컴퓨터 입니다. TG 삼보컴퓨터서비스,TG,tg삼보삼보컴퓨터,삼보서비스,TGS,TG삼보컴퓨터,TRIGEM,TRIGEM.CO.KR,에버라텍,리니지2,루온,XP,바이러스,악성코드,고장,비디오,게임,노트북,마우스,키보드,드라이브,자료실,PC,컴퓨터,출장서비스,소모품,판매.최저가,조립컴퓨터,가격비교,안드로이드,아이폰,삼성,캘럭시,S2,애플,어풀,WIFI,3G,4G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Tag

2007. 9. 5. 14:57 세상이야기
전국민 담배끊어도 30년후까지 폐암환자 발생
전국민 담배끊어도 30년후까지 폐암환자 발생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흡연이 보편화되면서 폐암 발생과 사망은 급격히 늘었고 현재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연운동은 전 세계로 확산됐으며 금연구역은 점점 확대되는 추세다.
그렇다면 만약 오늘부터 우리나라 국민 모두가 금연을 실시한다면 어떻게 될까.
기생충 예방약이 보편화되면서 이후 기생충으로 인한 환자가 거의 다 없어졌듯 금연 이후에도 폐암환자는 찾아보지 못하게 될까.
◇ 금연해도 향후 30년까지는 폐암환자 발생
금연 이후 폐암 환자가 줄어들기까지는 약 25~30년 정도가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미국의 경우 1960~1970년대에 금연 운동이 활성화돼 담배 소비량이 감소했지만 폐암 환자가 줄어든 것은 25~30년 후인 1990년대였다.
이진수 국립암센터 연구소장은 “미국의 예에서 볼 수 있듯 오늘 당장 모든 사람이 금연을 한다고 하더라도 향후 30년간 환자는 계속 생길 것”이라며 “하지만 담배를 30대에 끊을 경우 폐암 위험도는 1/10으로, 50대에 끊으면 1/5 등으로 줄어드는 만큼 무조건 빨리 끊는 것이 폐암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또한 얼마 전 캐나다 브리티시암연구센터 연구팀은 당장 담배를 끊어도 폐암의 위험은 어느 정도 남아 있다는 의학적인 분석결과를 내 놓았다.
연구팀이 8명의 현재 흡연자, 12명의 과거흡연자, 4명의 비흡연자 총 24명의 폐조직을 분석한 결과, 담배 연기 속 독성분이 유전자들을 변화시키고 이 같은 변화의 일부는 금연 후에도 영구적으로 변해 이 중 일부가 암 발병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수 있다고 밝힌 것이다.
분당서울대병원 호흡기내과 이춘택 교수는 “최근 연구에서 담배 연기 속의 대표적 발암물질인 beno(a)pyrene이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것을 막는 p53이라는 대표적인 종양억제유전자를 파괴시켜 폐암 등의 여러 암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증명되고 그 외 여러 객관적 증거가 입증되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해 일부 흡연자들은 “금연을 해도 폐암 위험이 남아 있다면 굳이 금연을 할 필요가 있겠느냐”고 반문한다.
하지만 전문의들은 금연을 해도 위험성이 남아 있다는 것은 오히려 담배의 위험성을 더욱 잘 보여주는 예라고 지적하며 담배는 비단 자신 뿐 아니라 주위 사람들에게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무조건 빨리 끊는 것이 상책이라고 조언한다.
특히 우리나라 남성 폐암환자의 90%는 흡연자이지만 여성 폐암환자의 85%는 비흡연자로 알려지고 있어 충격은 더욱 크다
실제로 담배를 피지 않는 사람이 담배연기가 있는 곳에서 4시간 정도 머문 후 소변검사를 했을 때, 니코틴과 발암물질의 농도가 마치 함께 흡연한 것과 비슷하게 올라간다는 보고도 있다.
◇ 폐암, 다른 암에 비해 치료가 어렵다
폐암은 크게 편평상피세포암, 선암 및 대세포폐암을 포함하는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의 2가지로 분류된다. 이 중 소세포폐암이 15~20% 정도이며 나머지가 비소세포폐암이다.
치료의 경우 비소세포폐암은 비교적 진행이 느려 제1, 2기는 수술을 하는 것이 원칙이며 제3기는 경우에 따라 수술, 방사선치료 및 항암화학요법을 단독 또는 병행 치료하게 된다.
문제는 다른 암들에 비해 치료가 어렵다는 것.
폐암은 몇 년 동안 계속 자라고 있어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심각하게 진행됐다 하더라도 특별한 통증이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이 진단될 때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여서 근치적 절제술을 적용할 수 있는 환자가 적고 무엇보다 폐암 자체가 성질과 상태가 다양하며 환자들의 병기 상태도 다양하다.
결국 전반적으로 폐암은 조기에 발견해 수술을 시행하지 않는 한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필수.
최근에는 방사선치료가 발전해 암세포에 방사선을 조여 주변 조직을 거의 손상시키지 않고 암세포만 파괴하는 기술 개발로 고령자나 수술이 어려운 부위에 생긴 암환자 등도 치료가 가능해졌다.
더불어 표적항암제의 발달로 진행성 폐암환자의 수명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학제간 통합치료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한편, 폐암의 증상으로는 기침, 가래가 대표적이나 일반적인 감기, 기관지염의 증상과 구별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춘택 교수는 “기침, 가래가 2주 이상 지속되거나 가래에 피가 묻어 나오면 이는 의미 있는 증상으로 전문의를 찾아 검사를 받아야 한다”며 “그 외에 목소리가 쉬거나 가슴 부위의 통증, 호흡곤란, 호흡시 쌕쌕거리는 천명음이 들리기도 한다”고 말한다.
이와 함께 폐암이 악화되면서 여러 장기로 뻗어나가 그 부위의 통증이나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부 환자에서는 아무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조고은기자 eunisea@mdtoday.co.kr
뉴시스
posted by 정이있는마루
2007. 9. 5. 14:27 컴퓨터소식
노트북 PC진화의 끝은 대형화냐 소형화냐
데스크톱 성능 + 노트북'데스크노트' 큰 화면 장점
기존 노트북 절반 크기 '울트라모바일PC'도 눈길

노트북 PC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 노트북 PC가 개인휴대단말기(PDA) 등 디지털 휴대기기와 가정용 컴퓨터 데스크톱PC 등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양극단으로 급속하게 진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신학기를 맞아 가정용 컴퓨터를 구입하려는 사람들은 뭘 고를지 즐거운 선택의 고민에 빠져들고 있다.

데스크노트 '센스G25'
2세대 UMPC '약진 앞으로'

기존 노트북PC의 절반 크기에 불과해 높은 휴대성과 오랜 사용시간 등을 자랑하는 2세대 울트라모바일PC(이하 UMPC)가 인기를 끌고 있다. UMPC는 지난해 마이크로소프트(MS)사가 '오르가미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그 개념을 제시한 휴대용 PC. 1세대 UMPC는 높은 가격과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능 등으로 소비자의 외면을 받았으나 올해 등장한 2세대 UMPC는 저렴한 가격과 강력한 성능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삼성전자의 'Q1 울트라'는 메모리 1기가 바이트, 하드디스크 60기가 바이트로 일반 PC 못지 않은 사양은 물론 배터리 사용 시간도 4시간30분으로 확대돼 사용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라온디지털의 2세대 UMPC '애버런'도 키보드와 와이드 터치스크린, 11시간 이상의 배터리 사용시간 등을 자랑하고 있다. 40만원대의 파격적인 가격인 UMPC '솔피'도 선보여 화제가 되고 있다. 이밖에 후지쯔, 소니 등에서도 치열한 UMPC 시장 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니 노트북 셈인 UMPC가 무선인터넷, 문서작용 등이 가능한 등 활용면에서 뛰어나기 때문에 가격이 비슷해질 경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나 내비게이션 기기 등 모든 휴대용 디지털기기를 하나로 융합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

데스크톱 성능에 노트북 편리성까지

'데스크톱의 성능'과 '노트북의 이동성'을 두루 갖춘 데스크노트도 노트북 PC 진화의 한 축. 데스크노트는 데스크톱 대체 수요를 겨냥해 책상 위에서 사용하기 편리하게 설계된 노트북. 전원 등 각종 케이블 등으로 복잡한 일반 데스크톱PC보다 공간활용도가 높고 집안 내에서 이동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데스크노트는 전원공급 선 하나만으로 간편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깔끔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큰 화면을 이용해 인터넷서핑 및 e-러닝을 즐길 수 있어 주부들에게 인기 높다.

현재 삼성전자와 LG전자 등은 모니터급의 대형 LCD를 장착한 48.1(혹은 48, 옛 19인치)㎝ 데스크노트 '센스 G25'와 '엑스노트 S900'를 잇따라 출시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데스크노트는 하드디스크 처리속도와 용량 등도 데스크톱PC와 비슷하고 데스크톱과 동일하게 숫자키패드가 따로 있어 숫자를 많이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다. 가격도 110만원 전후로 같은 사양의 노트북보다 훨씬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 42㎝(옛 17인치) 크기의 화면을 가진 데스크노트인 HP의 '파빌리온 DV9501TX'와 아수스의 'G1S',삼보컴퓨터의 '애버라텍 7100' 등도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일부 데스크노트는 노트북용 배터리가 없어 이동 중 사용할 수 없으며 무게가 일반 노트북 PC의 두배 정도인 5.7㎏나 된다는 점, LCD 모니터의 해상도가 기존 데스크톱 대형 모니터에 미치지 못하는 점 등을 감안해야 한다.

펀글 부산일보임원철기자

'컴퓨터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도시스템즈 정철 사장  (0) 2007.09.18
데스크 PC 이젠 10cm도 두꺼워  (0) 2007.09.07
2분기 pc시장 삼성, lg  (0) 2007.09.05
작게 더 작게 !!!!  (0) 2007.09.04
컴퓨터 오디오 tv 삼킨다  (0) 2007.08.20
posted by 정이있는마루
2007. 9. 5. 14:24 컴퓨터소식
2분기 PC시장 `삼성ㆍLG` 주도
42%점유 양강구도 지속…HP 3위 급부상 주목



2007년 2ㆍ4분기 국내 PC시장은 삼성전자와 LG전자 지배력이 여전히 높았으며, 외국계로는 한국HP 점유율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시장조사기관 가트너 2007년 2ㆍ4분기 국내 PC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ㆍ4분기 33만6천대로 점유율 29.7%로 1위를 차지했으며, LG전자는 약 13만5천대를 판매해 점유율 12%로 2위를 기록했다.

PC시장에서 2ㆍ4분기는 전통적인 비수기에 해당되고 올해는 1ㆍ4분기 윈도비스타 출시가 이어지면서 시장약화가 예상되었으나 공공기관 및 기업체 부문 수요가 이어지면서 예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국내 PC시장 42%를 점유하며 양강 구도를 이어갔으며, 그 뒤를 한국HP, 삼보컴퓨터, 주연테크, 델인터내셔널, 도시바, 레노버, 후지쯔, 소니코리아 순이었다.

삼성전자는 데스크톱PC 성능을 제공하면서 이동성을 높인 노트북PC 등을 내놓아 데스크톱PC 대체 수요를 끌어들였다.

LG전자는 802.11n을 지원하는 산타로사 플랫폼을 적용한 고사양 노트북PC로 하이엔드 시장을 공략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3ㆍ4분기부터 세계시장에서 1위를 하고 있는 HP의 국내 시장 약진이 눈에 띈다. 한국HP는 2007년 1ㆍ4분기 국내 점유율 8.6%로 삼성전자, LG전자, 삼보컴퓨터에 이어 4위였으나 2ㆍ4분기 10.1%로 점유율을 늘리면서 3위로 올라섰다.

한국HP는 슬림PC 제품군 및 상감디자인을 적용한 노트북PC를 출시하는 등 일반소비자 시장을 적극 공략한 결과 점유율이 높아졌다. 특히 노트북PC 부문에서 2ㆍ4분기 전체적인 시장 약세에 따라 다른 PC업체들 판매량이 줄어들거나 비슷한 반면 4만2000대 이상을 판매해 1ㆍ4분기보다 3000대 가량 판매량이 높아졌다.
posted by 정이있는마루
2007. 9. 5. 14:20 세상이야기

추석선물로 고민중이다.

그런데 아는사람으로 통해 알게되었는데 카프리 카놀라유 먹어보고

이번엔 카놀라유로 결정했다.

국내산보다 수입카놀라유가 최고로 친다고한다.

아직은 기술이 선진국보다는떨어지는것 같다.

먹어봐도 차이를 느낄수가 있었다.

추천 캐나다산 카프리 카놀라유 선물세트

지금 할인도 한다고 한다.

http://oiltopia.co.kr 오일토피아





posted by 정이있는마루